본문 바로가기

경제와생활/재무설계

CMA의 뜻과 종류

CMA의 뜻과 종류

 

재테크를 시작하시거나, 딱 사회초년생에 진입했을때 가장 먼저 듣는말 중에 하나가 아마 CMA통장 일거라고 생각 되는데요,CMA는 'Cash Management Account'의 약자로 '어음관리계좌' 혹은 '종합자산관리계좌'라는 뜻입니다. 보통의 예적금은 이자를 확정금리로 지급하는데, 이CMA통장은 고객이 맡긴 돈을 어음이나 채권에 투자하여 시적배당형으로 지급하게 됩니다. 일반 은행의 통장도 비상예비자금 계좌로 종종 사용을 하지만 이율이 형편없이 낮다는 단점이 있습니다.(0.1%~1%) 그러나 CMA는 그보다 훨씬 높은 금리를 제공한다는 특징 때문에 비상예비자금 계좌로 적절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대부분의 직장인들이 월급통장으로 쓰고있는것만 봐도 쉽게 이통장의 인기를 알수있죠.

종류로는 크게 4가지가 있는데, RP형, MMF형, MMW형, 종금형 등이 있습니다.

 

♣CMA의 종류

 

 

RP형

 

 확정금리형 RP(환매조건부채권)에 투자를하여 이자 수익을 얻는 상품입니다. 확정금리이기 때문에 CMA 금리가 높을 때 가입하면 좋습니다. 원금이 보장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5000만원까지 보장되는 예금자보호가 안 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MMF형

 자동 투자하는 실적배당형 상품입니다. 운용결과에 따라서 수익률이 달라지는데, RP형과는 반대로 금리가 낮을때, 채권가격이 오를때에 이용하면 좋은수익률을 얻을수가 있습니다.

MMW형

 다른 종류와는 다르게, 이자가 일일 복리로 계산되는 상품입니다. 수익률이 가장 낮다는 단점이 있지만, 복리의 힘을 앞세우기 때문에 오래 예치하면 할수록 유리한 금융상품입니다. 

 종금형

 가장 큰 특징은 5천만원 한도내에서 예금자보호가 된다는 점이 다른 CMA들과는 다르다고 볼수가 있습니다.

가입 기간에 따라 금리가 차등 적용된다는 특징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