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와생활

주가순자산비율과 현금흐름배수란?

 

 

주가순자산비율(PER: Price Book-Value Ratio)이란 주가를 1주당 순자산, BPS로 나눈 값을 뜻합니다. 주가가 1주당 순자산의 몇 배로 매매되고 있는가를 표시하며 PER과 같이 주가의 상대적 수준을 나타냅니다. 즉, 주가가 순자산에 비해 1주당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라고 볼 수 있죠.

기업의 자산 총액에서 부채 총액을 뺀 다음 순자산갗치, 즉 청산가치를 계산하고, 이 순자산가치를 주식 수로 나누면 기업이 주당 어느 정도의 자산을 가진 기업인지를 판가름할 수 있는 지표인 주당순자산이 나오는데, 이 수치와 주가를 비교한 것이 PBR입니다.

 

 

 

예를들면 순자산가치가 100억이고 현재 주가가 5천원인 주식이 100만 주에 달하는 기업의 PBR은 0.5입니다. 이러한 기업은 빌딩이나 땅이나 장비 등 순자산을 다 팔면 100억이 남지만 주식을 팔면 50억 원밖에 남지 않죠. 즉, 청산가치가 주가보다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와같이 PBR이 1보다 낮은 경우 주가가 지나치게 저평가됐다고 이야기 할 수 있고, 그러한 주식을 사는게 이득이 됩니다. 반대로 PBR이 1을 넘어가면 기업의 재산보다 시장의 주가가 높이 평가됐다고 말합니다. 만약 PBR이 '2'라는 의미는 회사가 망했을 때 100억원 밖에 받을 수 없는 주식이 200억 원에 거래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현금흐름배수란 기업가치(EV)를 세전기준영업현금흐름(EBITDA)로 나눈값 입니다. EV란 시가총액에 순차입금을 합한 것을 말하는 것이고, EBITDA란 세전 영업이익에 감가상각비 등 비현금성 비용을 합한 것입니다.

 

 

 

 

 

좀 더 간단하게 말하면 순수하게 영업으로 현금을 창출해낼 수 있는 능력이 시가총액에 비해서 얼마나 평가되고 있는가를 나타낸 지표입니다. 이비율이 작아지면 회사 주가가 기업가치에 비해 저평가되었다고 하는 것이죠. PER 지표가 낮을수록 주가가 저평가되어 있다고 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만약 EV/EBITDA가 '2'라고 하면 그 기업을 시장가격으로 매수했을 때 그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을 2년이면 회수할 수 있다는 의미가 됩니다. 그래서 이 지표를 현금흐름배수라고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