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1 수능요점정리 II.생동하는지구 ④ 고체 지구의 변화(2)
오늘은 고체 지구의 변화 후반부시간으로, 풍화와 사태, 그리고 지진의피해와 대책에 대해, 수능에 나올만한 것들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시한번 말씀드리지만, 이 지구과학정리 포스팅들은 개념을 한번 훑는 정도의 내용이지, 모든 내용들을 꼼꼼히 점검하는 차원의 포스팅은 아니기 때문에, 반드시 문제를 통해 개념에 살을 붙여나가시기 바랍니다.
★출제포인트1. 풍화
ⓐ풍화는 크게 기계적풍화와 화학적 풍화가 있다. 기계적풍화는 기온이 낮고 건조할수록, 화학적풍화는 기온이 높고 습할수록 더 우세하게 일어난다.
ⓑ 압력변화나 물의동결작용은 기계적풍화의 내용이고, 시험에 가장 잘나오는 사진은 테일러스 사진인데, 기계적풍화의 중요한 예시가 되는 지형이다.
<기계적풍화의 대표적지형 ☞ 테일러스>
ⓒ화학적 풍화 작용으로는 용해작용, 산화작용, 가수분해작용이 있는데, 정장석 →고령토→ 보크사이트 가 되는과정은 가수분해작용이고, 석회암이 지하수에 녹아 석회동굴이 되거나 산성비에 대리석 조각상이 녹는 과정은 용해작용의 대표적인 예로써 시험에 잘 나온다.
<화학적풍화의 대표적 예시 ☞ 대리석조각상 부식>
★출제포인트2. 사태
ⓐ경사면에서 물체가 미끄러져 내리지 않는 최대각을 안식각이라고 한다.
ⓑ사태는 보통 직각삼각형 모양의 그림으로 많이 출제되는데, 윗그림상의 세타(θ)가 경사각이라는 건데, 경사각이 안식각보다 크면 빗면의 토양이 쓸려내려가 사태가 발생된다.
ⓒ경사각이 안식각보다 크면 사태가 발생하고(가장큰이유) 또다른 요인으로는 토양이나 암석 입자 사이에 물이 많이 포함되면 사면 물질의 저항력이 약해져 사태의 가능성이 커진다. 당연히 단층면이나 사람들의 개발에 의해(벌목등) 인위적으로 일어나기도 한다.
ⓓ사태는 내부 구조를 변형시키면서 점성이 큰 물질이 흘러내리는 것과 같이 움직이는 유동에 의한 사태와 내부 구조를 변형시키지 않으면서 미끄러지듯이 이동하는 사태, 또는 낙하에 의한 사태가 있다.
유동에 의한 사태로는 포행, 흐름이 있고, 미끄러짐에 의한 사태는, 미끄러짐, 함몰, 낙하에 의한 사태는 낙하가 있다.
★출제포인트3. 지질 재해의 피해와 대책
ⓐ지질 재해중에 특히 쓰나미는 바다의 수심이 얕아질수록 지표면과의 마찰에 의해 전파 속도가 느려지고 파고가 높아져, 해변가에 있을수록 먼바다에 있을때보다 피해가 증가한다.
ⓑ지진재해 문제는 상식적으로 풀면되는데, 쓰나미가 올때는 빨리 밖으로 나가서 높은곳으로 피신해야 하고, 지진이 났을때는 구조물안에 들어가서 몸을 보호해야하는 차이점이 있다.
'교육 > 수능지구과학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구과학1 수능요점정리 II.생동하는지구 ⑤ 유체 지구의 변화 (상) (2) | 2015.08.03 |
---|---|
지구과학1 수능요점정리 II.생동하는지구 ④ 고체 지구의 변화(1) (0) | 2015.05.15 |
지구과학1 수능요점정리 I.소중한지구 ③ 아름다운 한반도 (1) | 2015.04.21 |
지구과학1 수능요점정리 I.소중한지구 ② 지구의선물 (0) | 2015.04.13 |
지구과학1 수능요점정리 I.소중한지구 ① 행성으로서의 지구 (하) (1) | 201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