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수능지구과학1

지구과학1 수능요점정리 I.소중한지구 ③ 아름다운 한반도

지구과학1 수능요점정리 I.소중한지구 ③ 아름다운 한반도

 

지구과학1 제3단원인 아름다운 한반도는 암기할 부분이 정말 많은 단원입니다. 수험생에 따라 다르지만, 천체다음으로 어려운 단원이 뭐냐라고 묻는다면 많은 학생들이 아름다운 한반도 단원이라고 할 정도니까요.

하지만 모든 부분이 많이 나오는것은 아니기 때문에 중요도 순서대로 익혀 나가시면서 살을 붙이신다면 특별히 틀릴만한 요소는 없는 단원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번포스팅에서는 아름다운 한반도 내용중에서도 자주나오는 출제유형들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물론 살을 붙이는 과정은 수험생 여러분들이 혼자 기출문제들을 풀어보시면서 스스로 해나가시는게 중요하다고 볼수있겠죠.

 

출제포인트1. 화성암 지형

ⓐ지구과학1에서 화성암은 크게 화산암과 심성암으로 나눠진다. (화성암과 화산암을 혼동하지 말것! 화산암은 화성암의 큰테두리 안에 들어감!!)

 

ⓑ화산암은 보통 우리가 아는 화산(울릉도 백두산 한라산 등등)을 생각하면 되고 주로 현무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주상절리가 발달한다. 주상절리는 마그마가 지표면으로 분출한뒤 빠르게 냉각되어 기둥모양의 절리가 생긴것이다. 주상절리는 철원이나 한탕강 주변이 유명하다.

 

<심성암의 형성과정>

 

ⓒ심성암은 마그마가 지하 깊은 곳에서 냉각될 때 형성되며 주로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다.지표면에 노출될때 풍화침식 압력감소 등으로 판상절리가 발달한다. 설악산, 북한산(백운대, 인수봉) 등이 유명하다.

 

<주상절리(좌) 판상절리(우) 구별하는 문제가 잘나온다>

 

 

 

출제포인트2. 변성암 지형

ⓐ변성암은 간단히 말해 열과 압력을 받아 암석의 성질이 변하는 것. 가장 유명한 것이 모래가 변성된 규암이 있다.

ⓑ변성암 지형중 단층은 양쪽에서 미는 힘인 횡압력을 받은 역단층, 양쪽으로 잡아당기는 힘인 장력을 받은 정단층이 있다. (반드시 교과서 그림 참고할것!!)

 

ⓒ습곡은 횡압력을 받아 지층이 휘어진 구조를 말하는데 위로 향한부분을 배사, 아래로 구부러진 부분을 향사라고 한다.(작년 6월 출제되 많은 수험생들이 틀린부분)

ⓓ변성암 지역으로 유명한 곳은 대이작도, 고군산군도(규암층) 백령도 두문진 일대가 있다.

 

출제포인트3. 퇴적암 지형

 

 

ⓐ퇴적암은 그림으로 외우는게 좋은데, 마이산의 타포니(역암), 각종 화석들, 석회동굴, 응회암층(화산재가 퇴적된 구조) 등등이 있다. 문제를 몇번 풀어보면 어렵지 않다.

 

물론 여기 있는건 큰 틀이고, 살을 붙여나가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보실수가 있습니다.